production.kr [불교학과] 상좌부 불교의 이해 > production5 | production.kr report

[불교학과] 상좌부 불교의 이해 > production5

본문 바로가기

production5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불교학과] 상좌부 불교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09:06

본문




Download : 상좌부 불교의 이해.hwp







삼장(三藏 Tipitaka) - 李摩聖 지음

100일 동안 경험한 미얀마 불교


Ⅰ. 우리나라의 상좌부불교 - 우리나라 상좌부불교 수행의 실태
한국의 스님이나 재가 불자들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늘 수행을 할 수 있는 미얀마의 위파사나 수행 기관은 참메를 비롯한 마하시, 빤띠따라마, 싸땀마란시, 우바킹국제명상센터, 세우민또야 등 모두 6곳이다. 한국의 스님이나 불자들이 남방상좌불교의 본고장인 미얀마를 비롯한 태국, 스리랑카 등지로 직접 건너가 남방상좌불교 수행법에 따라 정진한 후 한국으로 돌아와 지난 2∼3년 사이 각기 선원이나 명상센터, 사찰을 개설해 이 땅에 남방상좌불교 수행법을 뿌리내리게 한 것이다. 남방상좌불교 수행법을 지도하는 재가 법사나 스님들은 대략 1만여명 안팎이 일상 생활 속에서 늘 정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따 본지가 위파사나 수행기관 중 1세대 선원으로 꼽히는 서울 보리수선원을 비롯한 천안 호두마을, 김해 다보선원, 인터넷 위파사나 선원 `간다` 등 남방상좌불교 수행법을 지도하는 16개 기관의 수행 실태를 파악한 결과 매주 한 次例(차례) 이상 선원에 들러 수행하는 불자나 스님은 1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 次例(차례) 이상 정진한 경험이 있는 대중 수는 대략 1만 5000여명을 웃돌아 위파사나 지도자들의 추정을 뒷받침했다. 한국의 사부대중이 이 곳에서 본격적으로 수행을 하기 처음 한 것은 96년 말부터이다.
부록 - 위파사나 입문(호두마을 수련교재)

상좌부 불교를 이해하기 위해 발표를 위해 준비했던 보충, 참고자료(資料)입니다~
우리나라 상좌부불교 수행의 실태 [출처 : 법보신문 <2003. 1. 29 / 691호> ]



Ⅱ. 남방 상좌부불교의 이해


Download : 상좌부 불교의 이해.hwp( 38 )





[참고자료(資料)] 1. Buddhaghosa, Acariya. Th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amoli(tr.), B.P.S., Chapter XIV, pg.141.
Ⅲ. 상좌부불교의 소의경전
`테라바다(남방상좌부불교)가 한국에 급속히 정착하고 있따` 꼭 6년여만의 일이다.
또 다른 선, 위파사나의 이해

상좌부 불교, 위파사나, 남장 상좌불교의 이해, 팔리문헌의 조직, 삼장, 수행불교, 미얀마 불교, 선

1. 남방상좌부불교(테라바다) 유입 어디까지 왔나
2. 안국동 위파사나 선원 수행 스케치
설명

Ⅰ. 우리나라의 상좌부불교
3. Sayadaw U Pandita Bhivamsa, Ven. Rains in hot summer. M.B .C., 1994.

Sangabhasa-tika. (Burmese). 1990.
<양곤, 판디타라마, 1997>
6. Mahagandayon Sayadaw U Janaka Bhivamsa, Ven.

7. Sayadaw U Pandita Bhivamsa, Ven. Various dhamma talks.

한국에 정착한 남방상좌불교 수행법 중 가장 널리 보급된 수행법은 역시 미얀마의 위파사나이다.


상좌부 불교의 내역 / 난다라타나
Ⅴ. 상좌부불교의 수행
4. Bodhi, Bhikkhu, et. al.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B.P.S.
순서

Ⅳ. 상좌부불교 체험기
상좌부 불교의 이해-2231_01.gif 상좌부 불교의 이해-2231_02_.gif 상좌부 불교의 이해-2231_03_.gif 상좌부 불교의 이해-2231_04_.gif 상좌부 불교의 이해-2231_05_.gif
3. 위파사나 수행 기관 16곳 수행 실태
상좌부 불교의 주요 수행처와 스승들 / 김열권

다. 스님들은 대다수가 조계종 소속 승려였다. 수행 초기만 하더라도 한국의 대중 수는 5∼6명 안팎이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 수는 6∼7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위파사나가 대중 폭넓게 파급된 가장 큰 원인(原因)은 미얀마의 위파사나 수행 기관이 외국인들에게 폭넓게 개방돼 있을뿐더러 외국인을 위한 지도 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Sayadaw U Pandita Bhivamsa, Ven. In this very life, Wisdom, 1992.


1. 남방상좌부불교(테라바다) 유입 어디까지 왔나

상좌부 불교를 이해하기 위해 발표를 위해 준비했던 보충, 참고자료입니다~ [참고자료] 1. Buddhaghosa, Acariya. Th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amoli(tr.), B.P.S., Chapter XIV, pg.141. 2. Sayadaw U Pandita Bhivamsa, Ven. In this very life, Wisdom, 1992. 3. Sayadaw U Pandita Bhivamsa, Ven. Rains in hot summer. M.B .C., 1994. 4. Bodhi, Bhikkhu, et. al.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B.P.S. 5. Mahasi Sayadaw, Ven. Vipassana shu nyi gyan. (Burmese) 6. Mahagandayon Sayadaw U Janaka Bhivamsa, Ven. Sangabhasa-tika. (Burmese). 1990. 7. Sayadaw U Pandita Bhivamsa, Ven. Various dhamma talks. <양곤, 판디타라마, 1997>

5. Mahasi Sayadaw, Ven. Vipassana shu nyi gyan. (Burmese)


남방 상좌부 불교의 수행체계 / 김재성
상좌부 불교의 history와 전통 / 송위지



가난하지만 청청한 수행불교(스리랑카)
삼장(三藏)의 성립과 그 정통성(팔리문헌연구소 편)




팔리문헌의 조직(이마성)
미얀마 선원에서 4안거를 성만한 후 귀국해 인터넷 위파사나 선원 `간다`를 개원한 성찬 스님에 따르면 2001년 12월 미얀마 6개 기관에서 수행한 한국인 대중 수는 스님(15명)과 재가 불자(40여명)를 더해 60여명 안팎인 것으로 파악됐다.
[불교학과] 상좌부 불교의 이해

남방상좌불교 수행법을 대표하는 미얀마의 위파사나나 태국의 아나파나사티(수식관), 두팅(숲 속에서의 명상) 등은 이젠 우리 사회 곳곳에서 그리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을 정도로 대중화됐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production.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production.kr All rights reserved.